2017
DOI: 10.14251/crisisonomy.2017.13.10.87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A Study on Clinical Violence, Emotional Response, Resilience and Career Identify among Nursing Students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20
2020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3

Relationship

0
3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3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0 publications
0
0
0
2
Order By: Relevance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13,14,30,35], 임상 수행능력(r=-.60, p<.001)과 자아존중감(r=-.18, p=.021)과는 유의 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14,33]. 또한, 실습 시에 경험하는 폭 력은 문헌에서 다룬 연구 변수인 학업소진(r=.19, p<.001)과 유의 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복탄력성(r=-.15, p=.005) 및 진로 정체감(r=-.17, p<.05)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11,34].한편 실습학생들이 현장에서 언어적 폭력을 경험한 후에 감정 반응이 나타나는데, 학생의 감정반응 정도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r=.57, p<.001), 우울(r=.39, p<.001) 및 스트레스 정도(r=.4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13,16,35], 학생의 폭 력에 대한 반응은 학업소진(r=.28,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 계[11], 폭력 경험에 대한 정서반응은 진로정체감(r=-.23, p<.01) 및 회복탄력성(r=-.17, p<.05)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34]. 그 외 성적 폭력은 우울(r=.29,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 성희롱은 자아존중감(r=-.15, p=.047)과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가 있었고[30,33], 신체적 폭력은 자아존중감(r=-.20, p=.010) 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33].…”
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13,14,30,35], 임상 수행능력(r=-.60, p<.001)과 자아존중감(r=-.18, p=.021)과는 유의 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14,33]. 또한, 실습 시에 경험하는 폭 력은 문헌에서 다룬 연구 변수인 학업소진(r=.19, p<.001)과 유의 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복탄력성(r=-.15, p=.005) 및 진로 정체감(r=-.17, p<.05)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11,34].한편 실습학생들이 현장에서 언어적 폭력을 경험한 후에 감정 반응이 나타나는데, 학생의 감정반응 정도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r=.57, p<.001), 우울(r=.39, p<.001) 및 스트레스 정도(r=.4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13,16,35], 학생의 폭 력에 대한 반응은 학업소진(r=.28,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 계[11], 폭력 경험에 대한 정서반응은 진로정체감(r=-.23, p<.01) 및 회복탄력성(r=-.17, p<.05)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34]. 그 외 성적 폭력은 우울(r=.29,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 성희롱은 자아존중감(r=-.15, p=.047)과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가 있었고[30,33], 신체적 폭력은 자아존중감(r=-.20, p=.010) 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33].…”
unclassified
“…그 외 성적 폭력은 우울(r=.29,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 성희롱은 자아존중감(r=-.15, p=.047)과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가 있었고[30,33], 신체적 폭력은 자아존중감(r=-.20, p=.010) 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33]. 한편 신체적 위협은 우 울(r=.29,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29,34]. 또한 언어적 폭력(β=.48, p<.01)과 언어적 폭력 경험 후 감정 반응(β=.24, p<.05)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에[13], 폭력에 대 한 반응은 학업소진(β=.17, p<.001)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11], 신체적 위협은 우울(β=.17, p=.004)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 다[19].…”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