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DOI: 10.9798/kosham.2016.16.3.117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A Study on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Development of Storm and Flood Damage Prediction System

Abstract: Recently, climate change had caused the frequency of rainfall occurrence and magnitude to increase. For this reason, disaster damage, recovery cost and casualties had also increased continuously.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storm and flood damage prediction system would serve as a tool for the government in order to draft a disaster prevention policy. In Korea, the casualties or damage function and damage estimation technique is currently on it early development stage since it still lacks direct and i…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17
2017
2019
2019

Publication Types

Select...
5

Relationship

0
5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5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5 publications
0
0
0
2
Order By: Relevance
“…재해 손실평가시스템에서 인벤토리 구조와 그 분류에 따른 가치산정 데이터베이스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NDMI, 2012a(NDMI, , 2012bJang et al, 2016 (Grossi and Kunreuther, 2005 et al, 2008;Kang, 2003 (Jeon et al, 1993). 이후 이를 개선한 '개선법'에서는 피해항목을 인명, 이재민, 농작물, 건축물, 농경지, 공공시설물, 기타피해액으로 분류하고, 재해연보 피해 자료를 회귀식으로 추정한 피해손상함수의 피해율을 재해피해금액에 반영하여 계산하였다 (Kim et al, 2001).…”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재해 손실평가시스템에서 인벤토리 구조와 그 분류에 따른 가치산정 데이터베이스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NDMI, 2012a(NDMI, , 2012bJang et al, 2016 (Grossi and Kunreuther, 2005 et al, 2008;Kang, 2003 (Jeon et al, 1993). 이후 이를 개선한 '개선법'에서는 피해항목을 인명, 이재민, 농작물, 건축물, 농경지, 공공시설물, 기타피해액으로 분류하고, 재해연보 피해 자료를 회귀식으로 추정한 피해손상함수의 피해율을 재해피해금액에 반영하여 계산하였다 (Kim et al, 2001).…”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우리나라 자연재해의 원인별 발생빈도는 호우와 태풍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Ahn et al, 2015), 호우나 태풍 등으로 인한 자연재해를 사전에 방지하거나, 피해를 경감하려는 노력이 실질적 효과가 있는 지를 판정하 였다 (NDMI, 2001). Jang et al (2016)은 외국사례를 근거로 국내 실정에 맞는 풍수해피해예측시스템 개발 방향을 제시 하였다. Jun et al (2008)은 재해연보의 호우⋅태풍 피해자료 를 이용하여, 지역특성과 발생횟수 및 피해액에 따라 구분하 고 지역별 특성에 따른 피해정도를 분석하였다.…”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