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시운동은 유 사성(similarity)과 근접성(proximity)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Holmqvist et al, 2011;Snowden et al, 2011), 실험자극의 응시를 분 석할 때 첫 응시를 기계적으로 제외하거나, 실험설 계에 따라 첫 응시시간을 근거로 시각정보에 대한 인지부하 정도를 분석하기도 한다 (Duchowski, 2007;Holmqvist et al, 2011 (Jacob & Karn, 2003;Just & Carpender, 1976;Rayner, 1998 45편의 논문의 연구영역을 살펴보면, 국어교육 에 관련된 연구가 13편 (Choi, 2014; Fi g. 5. Annual number of paper Koh, 2014;Jeong & Kang, 2015;Kim, 2015;Koh & Yoon, 2007;Koh et al, 2010;Lee & Yong, 2009;Lee & Shin, 2012a;2012b;Lee & Suh, 2013;Lee, 2014;Lee & Park, 2015;Lee & Kang, 2015;Yoon & Koh, 2009), 수학교육에 관련된 연구 가 1편 , 과학교육에 관련된 연구 가 23편 Han et al, 2015;Jang & Shin, 2013;Jeon & Shin, 2015;Jeong & Lee, 2016;Kim et al, 2012;2013;Kim & Shin, 2014;Ko et al, 2014;Lee et al, 2014;Park & Shin, 2015;Shin & Choi, 2013;2014a;2014b), 교 육심리에 관련된 연구가 1편 (Ryu & Moon, 2013), 유아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1편 (Kwon et al, 2016) 이었다 (Fig. 6) (Lee & Yong, 2009;L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