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DOI: 10.12779/dnd.2014.13.3.51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Characteristics of Language Comprehension in Normal Elderly and the Mild Cognitive Impaired

Abstract: Background: Healthy aging is characterized by declines in language function and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language comprehension difficulties due to pathological aging (i.e., mild cognitive impairment) from those due to normal ag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literature on characteristics of language comprehension in normal elderly and the mild cognitive impaired, and to compare their performances on different language domains. Methods: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identified nu…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3

Year Published

2016
2016
2021
2021

Publication Types

Select...
5

Relationship

2
3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7 publications
(3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87 publications
0
0
0
3
Order By: Relevance
“…. 이러한 신경학적 측면에서의 노화 현상은 단어 판단 여부 및 반응시간과 관련된 수행력 저하로 나타난다 (Lee, Lee, Song, & Kim, 2014 (Hutchinson & Beasley, 1976;Lee & Sung, 2015 (Kwon, Nam, & Lee, 2015 (Kong et al, 2010;Kwon et al, 2015). 예를 들어, Kwon, Lee와 Nam (2011) (Federmeier, Van Petten, Schwartz, & Kutas, 2003).…”
unclassified
“…. 이러한 신경학적 측면에서의 노화 현상은 단어 판단 여부 및 반응시간과 관련된 수행력 저하로 나타난다 (Lee, Lee, Song, & Kim, 2014 (Hutchinson & Beasley, 1976;Lee & Sung, 2015 (Kwon, Nam, & Lee, 2015 (Kong et al, 2010;Kwon et al, 2015). 예를 들어, Kwon, Lee와 Nam (2011) (Federmeier, Van Petten, Schwartz, & Kutas, 2003).…”
unclassified
“…노인의 담화 이해 • 송제호 외 화 참여의 어려움, 청각적 지시 따르기의 곤란, 질문을 확인하기 위 한 반복 질문, 대화 주제 변화에 따른 이해의 어려움 등에 문제가 있 다고 보고하였다 (Burda, 2010).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담화이해 연구들을 살펴보면 60대에서는 담화이해 능력이 비교적 양호하나 70대 이상에서 저하가 나타나며 (Lee, Lee, Song, & Kim, 2014), 특 히, 청각적 처리과정의 지연(delay)이 담화이해의 어려움으로 작용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ttle, Prentice, Darrow, & Wingfield, 2005).…”
unclassified
“…초기 읽기 단계에서는 인쇄 된 글자와 음운의 관계를 상징화하는데 특히 이 시기에는 읽기능 력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된 음운인식능력이 출현하고 빠르게 획득 된다 (Kim & Pae, 2012). 음운인식이란, 단어는 음절과 음소로 이루 어진 소리 구조라는 지식을 의미하는데 이는 읽기능력과 가장 정 적 상관관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Hong, Jeon, Pae, & Lee, 2002 (Chall, 1983) (Lee, Lee, Song, & Kim, 2014 (Yi, 1996;Park, 1993) (Cho & Pyun, 2015;Kim, 2017) (Raz & Kennedy, 2009;Reisberg et al, 1999Reisberg et al, , 2002 Qualls & Harris, 2003;Treitz, Heyder, & Daum, 2007).…”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