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DOI: 10.7235/hort.2021001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Comparison of Fruit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Sucrose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in Different Kiwifruit Cultivars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ruit development and sucrose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in the fruit of some kiwifruit cultivars grown in Jeju, Korea. The fruit characteristics and sucrose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were evaluated during fruit development in yellow-fleshed cv. 'Halla Gold', 'Sweet Gold' and 'Goldone' and green-fleshed cv. 'Garmrok'. Fruits were enlarged rapidly at the early stage of fruit development and dry matter showed a gradual increase by harvesting ti…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24
2024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1
0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37 publications
(30 reference statements)
0
0
0
2
Order By: Relevance
“…키위 프루트는 탄수화물, 비타민 A, C, E 및 K, 엽산, 폴리페놀, 마그네슘, 칼슘 등 다양한 영양소를 동반하는 기능성 과실로 알려져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wasawa et al, 2011). 키위프루트에는 녹색과육, 황색과육, 적색과육으로 구분되는데 최 근 국내외적으로 황색과육 품종의 재배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Kang et al, 2021). 국내외 시장에서 키위프루트 소비자는 대 과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과실 크기는 과실 품질에 영향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Flaishman et al, 2005).…”
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키위 프루트는 탄수화물, 비타민 A, C, E 및 K, 엽산, 폴리페놀, 마그네슘, 칼슘 등 다양한 영양소를 동반하는 기능성 과실로 알려져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wasawa et al, 2011). 키위프루트에는 녹색과육, 황색과육, 적색과육으로 구분되는데 최 근 국내외적으로 황색과육 품종의 재배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Kang et al, 2021). 국내외 시장에서 키위프루트 소비자는 대 과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과실 크기는 과실 품질에 영향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Flaishman et al, 2005).…”
unclassified
“…전분이 분해되어 당으로 전환되면 가용성 당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Wegrzyn and MacRae, 1995;Antognozzi et al, 1996). 전분과 가용성 당 의 변화를 고려할 때 '스위트골드' 및 '제시골드'의 적숙기는 각각 만개 180일 및 170일로 나타났으며, 이는 Kang et al (2021) 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키위 과실에서 전분은 대부분 과피 바깥 조직의 소세포에 저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ould et al, 1992).…”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