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DOI: 10.7745/kjssf.2023.56.1.077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Soil Properti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Upland Fields

Abstract: Application of organic farming system has been increased recently but change of soil properties due to organic farming system has not been thoroughly studi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soil properties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system and to identify the most affected soil parameters for two different farming system.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pland fields that have been using conventional or organic farming system for over five years. The…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23
2023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3

Relationship

1
2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3 publications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73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담수 환경인 우리나라 벼논은 혐기 조건에서 많이 발견되는 Chloroflexota의 상대풍부도 가 높았고 밭, 과수원, 시설재배지에 비해 미생물 네트워크가 더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Petriglieri et al, 2018;Lee et al, 2020). 토양 유형 뿐만 아니라 토양 관리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토양 화학성은 미생물 군집 변화에 상 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잘 알려져 있다 (Aziz et al, 2013;Bartram et al, 2014;Yoon et al, 2022;Kim et al, 2023). 이 전 연구들은 pH, 전기 전도도, 유기물 함량, 가용성 인산 등 변화에 따라 미생물 군집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 고 (Chodak et al, 2015;Kim et al, 2016;Xu et al, 2020), 특히 pH는 다른 이화학성에 비해 미생물 군집 구조와 다양 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Lauber et al, 2009;Rousk et al, 2010;Kim et al, 2016;Lee et al, 2020).…”
unclassified
“…담수 환경인 우리나라 벼논은 혐기 조건에서 많이 발견되는 Chloroflexota의 상대풍부도 가 높았고 밭, 과수원, 시설재배지에 비해 미생물 네트워크가 더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Petriglieri et al, 2018;Lee et al, 2020). 토양 유형 뿐만 아니라 토양 관리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토양 화학성은 미생물 군집 변화에 상 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잘 알려져 있다 (Aziz et al, 2013;Bartram et al, 2014;Yoon et al, 2022;Kim et al, 2023). 이 전 연구들은 pH, 전기 전도도, 유기물 함량, 가용성 인산 등 변화에 따라 미생물 군집 구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 고 (Chodak et al, 2015;Kim et al, 2016;Xu et al, 2020), 특히 pH는 다른 이화학성에 비해 미생물 군집 구조와 다양 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Lauber et al, 2009;Rousk et al, 2010;Kim et al, 2016;Lee et al, 2020).…”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