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화 과정의 반응속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광 학현미경이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미지를 관찰하여 직접 형성 된 결정의 개수를 세는(modal counting) 분석법이 이용되기도 하였고(e.g., James, 1974), 시차주사 열량측정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이나 시차열분석법(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으로 결정화 반응 시 발생하는 열량변화 를 통해 결정화 온도나 속도를 규명하였다(e.g., Kissinger, 1957;Gibson and Delamore, 1987). 또 한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의 전자회절패턴이나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을 통해서 결정의 형성여부를 파악 하여 결정화 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도 하였 다(e.g., Zhang and Banfield, 2002 Na와 같 은 핵종) 주변의 원자 환경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 를 제공한다 (Le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