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DOI: 10.7732/kjpr.2012.25.1.156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Current Research Trend of Postharvest Technology for Chrysanthemum

Abstract: -Chrysanthemum is a cut flower species that normally lasts for 1 to 2 weeks, in some cases 3-4 weeks. This has been attributed to low ethylene production during senescence. Reduction in cut flower quality has been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ir embolisms that partially or completely blocks the water transport from the vase solution to the rest of the cut flower stem, increasing hydraulic resistance which may cause severe water stress, yellowing, wilting of leaf, and chlorophyll degradation. Standard type c…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2
0
12

Year Published

2012
2012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10

Relationship

0
10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20 publications
(14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25 publications
0
2
0
12
Order By: Relevance
“…국화는 장미, 난, 나리, 카네이션을 위시한 절화류 중 생산량이 가장 많은 화훼류 중의 하나이며, 꾸준한 증가세로 인해 2010 년에는 국내 절화 수출의 13.4%를 차지하고 있으며(MIFAFF, 2011), 관혼상제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국화는 스탠다드 국 화로서 주로 흰색이 사용되고 있으며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스프레이 국화는 주로 절화용으로 (Suh et al, 2015), 소국 또는 대국 은 화분용 또는 화단 재배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Kim et al, 2012).…”
Section: 서 언unclassified
“…국화는 장미, 난, 나리, 카네이션을 위시한 절화류 중 생산량이 가장 많은 화훼류 중의 하나이며, 꾸준한 증가세로 인해 2010 년에는 국내 절화 수출의 13.4%를 차지하고 있으며(MIFAFF, 2011), 관혼상제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국화는 스탠다드 국 화로서 주로 흰색이 사용되고 있으며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스프레이 국화는 주로 절화용으로 (Suh et al, 2015), 소국 또는 대국 은 화분용 또는 화단 재배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Kim et al, 2012).…”
Section: 서 언unclassified
“…절화에서 수분과 관련되어 절 화보존 시 수분균형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8,9) . 절화를 저 장함에도 불구하고 작물 체내 수분상태가 어느 정도인지 또 는 소비자가 이용하기 전에 어떤 조건이 절화 수명에 영향 을 미치는가에 대한 고찰이 미흡하다.…”
unclassified
“…. 스탠다드 국화의 수요는 일본 명절인 오 봉절(8월)과 추분절(9월)에 급증하고 있으며 (Lim et al, 2013), 오봉절과 추분절은 절화 국화 수출 시장의 성수기로 (Kim et al, 2012), '신마(Jinba)', '백선(Iwanohakusen)', '백마(Baekma)' 세가지 품종이 많이 이용된다 (Shin et al, 2005 (Lee, 2011;Lee and Lee, 2013;Kim et al, 2012 (Guo et al, 1997;Park et al, 2000;Petridou et al, 2001;Kazemipour et al, 2013;Kim et al, 2012) (Suh and Kwack, 1994).…”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