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DOI: 10.5536/kjps.2021.48.2.6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Development of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hicken Breed using the Diallel Cross-Mating Test

Abstract: We conducted a 4 × 4 diallel cross-mating test using 934 chickens from four grandparent stock lines to develop a new synthetic breed of Korean native chicken. The mean values, combining 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n survival rate, body weight, and hen-day egg production were analyzed. In phenotypes, most chickens have yellowish-brown, reddish-brown and mixed color feathers. The average survival rate was 86.8±12.3%, with the highest in YH combination.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had a greater effect o…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21
2021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6

Relationship

6
0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6 publications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18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닭의 산란능력 개량을 위한 육종방법으로 크게 선발과 교배가 있 는데, 우선 교잡을 통해 생산능력이 우수한 조합을 선정하 고 이들의 종계 집단을 개량 선발하는 것이 보편적인 육종 방법이다. 따라서 닭의 육종을 위한 교배 방법 중 잡종교배 법을 가장 널리 이용하고 있고, 더불어 최적의 교배 조합을 찾기 위해 결합능력(combining ability)을 효과적으로 이용하 고 있다 (Razuki and Al-Shaheen, 2011;Choi et al, 2017;Ahmed et al, 2020;Isa et al, 2020;Sohn et al, 2021). 국립 축산과학원은 토종닭의 산란능력을 개량하고자 재래토종닭 5계통과 토착로드종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이원 및 삼원 교 배조합 시험을 시행한 결과, 교잡에 따른 개량의 효과는 현 저하게 나타났으나, 교배조합 간 능력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Kang et al, 2011;Kim et al, 2012).…”
unclassified
“…닭의 산란능력 개량을 위한 육종방법으로 크게 선발과 교배가 있 는데, 우선 교잡을 통해 생산능력이 우수한 조합을 선정하 고 이들의 종계 집단을 개량 선발하는 것이 보편적인 육종 방법이다. 따라서 닭의 육종을 위한 교배 방법 중 잡종교배 법을 가장 널리 이용하고 있고, 더불어 최적의 교배 조합을 찾기 위해 결합능력(combining ability)을 효과적으로 이용하 고 있다 (Razuki and Al-Shaheen, 2011;Choi et al, 2017;Ahmed et al, 2020;Isa et al, 2020;Sohn et al, 2021). 국립 축산과학원은 토종닭의 산란능력을 개량하고자 재래토종닭 5계통과 토착로드종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이원 및 삼원 교 배조합 시험을 시행한 결과, 교잡에 따른 개량의 효과는 현 저하게 나타났으나, 교배조합 간 능력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Kang et al, 2011;Kim et al, 2012).…”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