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식물에 축적되는 2차 대사물질의 함량은 품종특성, 기 후조건, 계절변화, 성숙, 수확 후 처리, 저장 조건 등에 강 력하게 좌우되고 있으나 현재 양분 공급이 미치는 영향은 완벽하게 보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Coria-Cayupań et al, 2009). 국내의 경우도 대부분 기존 작물 내 기능성 물 질 함량 평가 (Boo et al, 2009;Choi et al, 2011;Kim and Ahn, 2014;Kim et al, 2013;Lee et al, 2012;Shin et al, 2015), 육종 및 형질전환 등에 의한 기능성 물질 함량 증대 (Han et al, 2012;Jang et al, 2015;Lee et al, 2014a;2014b;Oh et al, 2015;Qin et al, 2015) 질소 공급 토양 내 질소의 양과 동태는 식물 페놀성 화 합물의 생합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Treutter, 2010). ) and N levels (6, 56 and 106 mg L 아스코르빈산 종합 선행 연구결과 (Table 3) ) and standard N dose (9.50 meq NO3 -L ) and N levels (6, 56 and 106 mg L 글루코시놀레이트 종합 선행 연구결과 (Table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