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DOI: 10.5338/kjea.2015.34.2.21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Effect of Thermal Treatments on Flavonoid Contents in Domestic Soybeans

Abstract: BACKGROUND: Soy isoflavones, structurally similar to endogenous estrogens, may affect human body through both hormonally mediated and non-hormonally related mechanisms. Heat processing could change chemical compositions. The effects of different thermal processes, boiling and HTHP(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on the composition of isoflavone compounds and total amount of domestic soybea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METHOD AND RESULTS: Three different kinds of soybea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D…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16
2016
2016
2016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0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22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이와 함께 식물에 축적되는 2차 대사물질의 함량은 품종특성, 기 후조건, 계절변화, 성숙, 수확 후 처리, 저장 조건 등에 강 력하게 좌우되고 있으나 현재 양분 공급이 미치는 영향은 완벽하게 보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Coria-Cayupań et al, 2009). 국내의 경우도 대부분 기존 작물 내 기능성 물 질 함량 평가 (Boo et al, 2009;Choi et al, 2011;Kim and Ahn, 2014;Kim et al, 2013;Lee et al, 2012;Shin et al, 2015), 육종 및 형질전환 등에 의한 기능성 물질 함량 증대 (Han et al, 2012;Jang et al, 2015;Lee et al, 2014a;2014b;Oh et al, 2015;Qin et al, 2015) 질소 공급 토양 내 질소의 양과 동태는 식물 페놀성 화 합물의 생합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Treutter, 2010). ) and N levels (6, 56 and 106 mg L 아스코르빈산 종합 선행 연구결과 (Table 3) ) and standard N dose (9.50 meq NO3 -L ) and N levels (6, 56 and 106 mg L 글루코시놀레이트 종합 선행 연구결과 (Table 4) …”
unclassified
“…이와 함께 식물에 축적되는 2차 대사물질의 함량은 품종특성, 기 후조건, 계절변화, 성숙, 수확 후 처리, 저장 조건 등에 강 력하게 좌우되고 있으나 현재 양분 공급이 미치는 영향은 완벽하게 보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Coria-Cayupań et al, 2009). 국내의 경우도 대부분 기존 작물 내 기능성 물 질 함량 평가 (Boo et al, 2009;Choi et al, 2011;Kim and Ahn, 2014;Kim et al, 2013;Lee et al, 2012;Shin et al, 2015), 육종 및 형질전환 등에 의한 기능성 물질 함량 증대 (Han et al, 2012;Jang et al, 2015;Lee et al, 2014a;2014b;Oh et al, 2015;Qin et al, 2015) 질소 공급 토양 내 질소의 양과 동태는 식물 페놀성 화 합물의 생합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Treutter, 2010). ) and N levels (6, 56 and 106 mg L 아스코르빈산 종합 선행 연구결과 (Table 3) ) and standard N dose (9.50 meq NO3 -L ) and N levels (6, 56 and 106 mg L 글루코시놀레이트 종합 선행 연구결과 (Table 4) …”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