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표수 (Chen et al, 2004;Wu and Liu, 2014;Jawak et al, 2015;Ahmad and Kim, 2019)와 지하수 (Rodell and Famiglietti, 2002;Tiwari et al, 2009;Frappart and Ramillien, 2018;Chanu et al, 2020) 등 수자원관리를 위해 인공위성 기술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관측하기 시작 하였다. 인공위성은 광범위한 영역을 일시에 촬영할 수 있고 (Kim et al, 2019), 북한이나 동남아 등 미계측 지역의 유역 및 하천 특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Sheffield et al, 2018). 인공위성 기반의 하천수 관측 연구는 주로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이나 Landsat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지구 전체 (Yamazaki et al, 2014;Allen and Pavelsky, 2018;Lin et al, 2020) 또는 특정 대륙(북미: Allen and Pavelsky, 2015;Isikdogan et al, 2017, 오세아니아: Hou et al, 2019, 중국: Yang et al, 2020의 공간적 범위에서 큰 규모의 하천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