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방조제 공사가 시작된 이후부터 방조제 건설에 따른 연안환경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새만금 내․외측에서 해수유동 (Choi and Kang, 1990;Lee et al, 2003a;Kim et al, 2006;Suh et al, 2006;Kim et al, 2008), 수질 (Kim and Kim, 2002;Kim et al, 2009), 퇴적물 (Hong et al, 2006;Lee et al, 2006;Ryu, 2007, 2008;Yang and Hwang, 2008), 및 해양생물 (Yoo et al, 2002;Hwang and Kim, 2003;Lee et al, 2003b;Cha et al, 2004;Park et al, 2004a;Rho et al, 2004;Kil et al, 2006;Lee et al, 2009)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들 연구 의 대부분은 방조제 내․외측의 조하대 지역에 집중되어져 있 고, 일부 조간대 지역의 연구는 대부분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의 새만금 갯벌 (Cho et al, 2001;Kim and You 2001;Kim et al, 2003;You et al, 2003;Oh et al, 2004;Park et al, 2004b;Woo et al, 2006;Koo et al, 2008) (Lee and Ryu, 2008). 연구지역 주변의 퇴적물은 금강하구둑과 새만금 방조제가 건설되기 이전에 금강, 만경강 및 동진강으로부터 지속적인 퇴적물을 공급받아 모래에서부터 사니질까지 다양 한 퇴적상이 존재한다 (Oh and Choi, 1999;Lee and Ryu,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