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DOI: 10.12791/ksbec.2020.29.1.8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Improvement of Nutrient Balance using Feed Crops for Regional Nutrient Management

Abstract: Livestock facilities in Korea are on their way of enlargement resulting in increment of livestock manure. When the livestock manure treated inappropriate way during application to the agricultural area, environmental damage can be occurred such as bad smell, water and air pollu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a good management plan for livestock manure treatment.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organic fertilizer made by livestock manure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current status of nutrient in …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21
2021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3

Relationship

0
3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3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4 publications
0
0
0
2
Order By: Relevance
“…OECD 주요 국가의 양분수지를 살펴볼 때 우리나라는 질소 기준 양분투입량 340 kg/ha, 양분소모량 95.4 kg/ha로 약 245 kg-N/ha 과잉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와 농경 특성이 유사한 일본(153 kg-N/ha), 가축 사육밀도가 높은 네덜 란드(140 kg-N/ha), 벨기에(132 kg-N/ha), 덴마크(132 kg-N/ha) 의 양분수지 보다 약 40% 정도 높은 수치이다 (Yang et al, 2020) (Kim et al, 2015). Kim et al (2015)은 양분총량제 도입방안 연구를 통해 양분수지 지표(양분투입량-양분반출량, kg/ha) 기준을 제시 하였고, 양분 초과율에 따라 양분관리 우수지역(< 50%), 관심지역(50~100%), 유도지역(100~150%), 특별관리지역 (> 150%)로 구분하였다.…”
Section: 서 론unclassified
“…OECD 주요 국가의 양분수지를 살펴볼 때 우리나라는 질소 기준 양분투입량 340 kg/ha, 양분소모량 95.4 kg/ha로 약 245 kg-N/ha 과잉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와 농경 특성이 유사한 일본(153 kg-N/ha), 가축 사육밀도가 높은 네덜 란드(140 kg-N/ha), 벨기에(132 kg-N/ha), 덴마크(132 kg-N/ha) 의 양분수지 보다 약 40% 정도 높은 수치이다 (Yang et al, 2020) (Kim et al, 2015). Kim et al (2015)은 양분총량제 도입방안 연구를 통해 양분수지 지표(양분투입량-양분반출량, kg/ha) 기준을 제시 하였고, 양분 초과율에 따라 양분관리 우수지역(< 50%), 관심지역(50~100%), 유도지역(100~150%), 특별관리지역 (> 150%)로 구분하였다.…”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은 논의 면적이 밭의 면적보다 넓지만, 강원도, 대전 광역시, 서울특별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의 경우 밭 작물이 논 작물에 비해 많이 재배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는 지역적 특성에 맞춰 논을 경작하기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거나, 계속된 도시화, 경지의 건물 건축 및 유휴지 이 용 등의 이유로 농경지의 면적이 감소 추이에 있기 때문이다(Lee et al, 2012;Yang et al, 2020;Yoon et al, 2020).가장 많은 논 면적을 차지하는 전라남도의 경우 2013년에 비해 2020년에 논 면적은 23,506 ha 감소했지만, 밭 면적의 경우 4,100 ha 증가하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급격한 쌀 소비량 감소로 인한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었기 때 문이다(Kim et al, 2018a;Statistics Korea, 2020). 전라북도의 경우 2013년에 비해 2020년에 약 10%의 밭 경작 면적 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특용작물 중 들깨의 재배면적 증가가 밭 경작지 면적 증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있다 (KOSIS, 2020).…”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