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hang et al, 1980 (Park and Lee, 1991;NFRDI, 2010). 멸치에 관한 연구는 남해안 멸치의 난치자 분 포 및 초기성장 (Lim and Ok, 1977;Kim and Kim, 1993), 해황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Park and Lee, 1991;Park et al, 2004)), 회유에 관한 연구 (Chang et al, 1980), 자원생물학적 연구 (Park and Lim, 1965;Cha, 1990;Cha and Park, 1994), 멸 치 자원의 분포 특성 (Park et al, 1996) (Joo, 1994;Joo et al, 1998;Kim and Rho, 1996;1994)와 남해도의 미조해역 (Cha, 2009a) 및 양화금해역 (Lee et al, 1988)의 어획량 변동 특성 연구 등 다수 있으나, 앵강만에서의 연구는 바다목장화 연구 모델지 역 선정과 관련한 해양생태학적 연구 (KORDI, 1996)와 조하대에서의 저서동물 군집 연구 (Lim et al, 1999) (Ricker, 1954;Nakata, 1991;Lee et al, 2009) (Chang et al, 1987)인 것과 인근 해역 의 경우 여수가 20%내외에 0.5톤/어장 (Hwang et al, 2006)인 것, 남해도의 미조와 양화금이 각 각 15%에 10.3톤/어장 (Cha, 2009a)이고 47%미 만에 67톤/어장 (Lee et al, 1988) (Kim and Kim, 1986;Lee et al,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