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DOI: 10.5657/kfas.2010.43.5.532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Abstract: Seaweed biomass was estimated in the rocky subtidal zone of Daejin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using a destructive sampling method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7. Monthly sampling was conducted at depths of 5, 10 and 15 m using 50 × 50 cm quadrats. A total of 73 species, including 5 chlorophytes, 25 phaeophytes, 43 rhodophytes and one seagrass were identified. Average seaweed biomass was 2,852.3 g wet wt. m-2 and biomass values varied monthly from 1,189.8 g to 7,523.7 g. The species dominant in biomass were…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2
1

Citation Types

0
4
0
4

Year Published

2011
2011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7

Relationship

2
5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9 publications
(8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3 publications
0
4
0
4
Order By: Relevance
“…동해안은 서해안이나 남해안과 달리 조석이 매우 적어서 조간대의 폭이 좁은 탓에 대부분의 해조류가 조간 대보다는 조하대에 주로 출현하고 있지만, 20세기에 조하대 해조류를 대상으로 연구한 자료는 오호리 죽도 (Koh, 1983;Koh and Sung, 1983;Koh et al, 1989), 봉포리 죽도 (Nam, 1986), 안인진 (Kim et al, 1983), 갈남 (Chung et al, 1991) 등에서 조사된 결과가 있을 뿐이다. 물론 금세기에 접어들면서 동해안의 조하대 해조류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지만 (Yoo, 2003;Choi et al, 2006;Kim et al, , 2010Shin et al, 2008aShin et al, , b, 2011, 동해안 연안의 조하대 해조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평가된다.…”
Section: 서 론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동해안은 서해안이나 남해안과 달리 조석이 매우 적어서 조간대의 폭이 좁은 탓에 대부분의 해조류가 조간 대보다는 조하대에 주로 출현하고 있지만, 20세기에 조하대 해조류를 대상으로 연구한 자료는 오호리 죽도 (Koh, 1983;Koh and Sung, 1983;Koh et al, 1989), 봉포리 죽도 (Nam, 1986), 안인진 (Kim et al, 1983), 갈남 (Chung et al, 1991) 등에서 조사된 결과가 있을 뿐이다. 물론 금세기에 접어들면서 동해안의 조하대 해조류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지만 (Yoo, 2003;Choi et al, 2006;Kim et al, , 2010Shin et al, 2008aShin et al, , b, 2011, 동해안 연안의 조하대 해조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평가된다.…”
Section: 서 론unclassified
“…동해안의 조하대에서 수심별로 해조류 출현종을 비교한 연구에서 먼저 Kim et al (2010)은 대진의 수심 5 m에서 59종, 10 m에서 47종 그리고 15 m에서 38종이 출현하여 수심이 깊어 질수록 출현종수가 감소한다고 보고하였고, Choi et al (2006) 역시 울진 연안 조하대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수심 3 m에서 24종, 6 m에서 21종, 9 m에서 17종 그리고 12 m에서 12종이 출현하여 수심이 깊어질수록 차츰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Section: 서 론unclassified
“…6 87 (Choi et al, 2006), 73 (Kim et al, 2010). , 94 (Shin et al, 2008b), 73 (Kim et al, 2010) . (Choi et al, 2009).…”
Section: 군집지수mentioning
confidence: 99%
“…(Boo and Lee, 1986;Boo, 1987;Lee and Lee, 1988;Lee et al, 1993;Lee and Kim, 1999), (Chung et al, 1991;Shin et al, 2008a, b;Choi et al, 2009). , (Shin et al, 2008a, b;Kim et al, 2010). (Lee and Kim, 1977;Nam et al, 1996), (NFRDI, 2004) .…”
mentioning
confidence: 99%
See 1 more Smart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