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DOI: 10.7232/jkiie.2016.42.6.377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Modeling Time Pressure Effect on Visual Search Strategy

Abstract: The previous Adaptive Control of Thought-Rational (ACT-R) cognitive architecture model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accurately predict human visual search strategy, because time effect, one of important human cognitive features, is not considered. Thu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CT-R cognitive modeling that contains the impact of time using a revised utility system in the ACT-R model. Then, the validation of the model is performed by comparing results of the model with eye-tracking experimental data a…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17
2017
2017
2017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1
0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22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작업개입은 앞서 언급했듯 작업자가 수행하던 작업을 중지 시키고 다른 작업을 하도록 방해하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좌절감(Frustration)을 느끼게 한다 (Berkowitz, 1989). 또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좌절감의 증가는 작업자의 인지부하 증 가로도 이어질 수 있다 (Mark et al, 2008) (Choi and Myung, 2016;Gunzelmann et al, 2007;Park and Myung, 2014;Ritter et al, 2007) (Berkowitz, 1989;Roseman and Smith, 2001 (Berkowitz, 1989;Czerwinski et al, 2000;Johnson and Rule, 1986;Zillmann and Cantor, 1976). 이는 인지적 종결 욕구 이론에서도 일맥상통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작업이 끝나갈수 록 인지적 종결 욕구가 커져 그 때 작업개입이 들어오면 작업 초기에 비해 충족되지 못한 욕구가 크기 때문에 좌절감의 크 기도 커진다 (Niculescu et al, 2014 Frijda, 2007;Mehrabian, 1996).…”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작업개입은 앞서 언급했듯 작업자가 수행하던 작업을 중지 시키고 다른 작업을 하도록 방해하기 때문에 작업자로 하여금 좌절감(Frustration)을 느끼게 한다 (Berkowitz, 1989). 또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좌절감의 증가는 작업자의 인지부하 증 가로도 이어질 수 있다 (Mark et al, 2008) (Choi and Myung, 2016;Gunzelmann et al, 2007;Park and Myung, 2014;Ritter et al, 2007) (Berkowitz, 1989;Roseman and Smith, 2001 (Berkowitz, 1989;Czerwinski et al, 2000;Johnson and Rule, 1986;Zillmann and Cantor, 1976). 이는 인지적 종결 욕구 이론에서도 일맥상통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작업이 끝나갈수 록 인지적 종결 욕구가 커져 그 때 작업개입이 들어오면 작업 초기에 비해 충족되지 못한 욕구가 크기 때문에 좌절감의 크 기도 커진다 (Niculescu et al, 2014 Frijda, 2007;Mehrabian, 1996).…”
Section: 서 론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