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결과는 영아의 발달 및 행동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 애착을 고려할 때, 단지 영아-어머니 관계만을 고려하는 것 보다 다른 성인과 영아간의 관계를 모두 고려하는 것 이 보다 유용하다는 Jackson(1993) 그러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어머니-영아, 교사-영아와의 관계를 함께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어머니와의 애착안정성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오종은, 2001; 이해영, 2006; 허정숙, 2008) (오종은, 2001;Frankel & Bates, 1990;Matas, Arend, & Sroufe, 1978), 유아 대상 연구(김숙령, 1996;이진숙, 2001;Bates, Maslin, & Frankel, 1985 (Carlson, Cicchetti, Barnett, & Braunwald, 1989) (Howes & Hamilton, 1993;Howes, Hamilton, & Phillipsen, 1998;Howes, Matheson, & Hamilton, 1994). 또한 대안 애착의 예측 변인으로 그간 알려진 적절한 양육태도 이외 에 절대적인 양육 시간 또한 매우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Barnas, & Cummings, 1997;Raikes, 19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