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DOI: 10.7845/kjm.2012.48.1.048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Production Properties on Extracellular Protease from Chryseobacterium Novel Strain JK1

Abstract: A novel Chryseobacterium sp. JK1 strain producing extracellular protease had been isolated from soil. The largest clear zones were observed on nutrient agar plates supplemented with 1% skim milk at 30-35℃ along with the growth of Chryseobacterium sp. JK1. The cell growth of JK1 strain was maximal at 24 h and maximum protease activity was reached up to 560 unit/ml at the stationary phase in liquid culture. In the presence of maltose, glucose or mannitol in Nutrient broth, cells grew well, but protease were prod…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5

Year Published

2013
2013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4

Relationship

2
2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4 publications
(5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7 publications
(9 reference statements)
0
0
0
5
Order By: Relevance
“…JK1 균주를 사용하였다 (Lee et al, 2012 최적 pH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zocasein을 현탁시키는 완충액 의 pH를 5.0에서 11.0까지 1.0의 간격으로 조정하여 활성을 측 정하였다. 각 pH별 사용된 완충액은 pH 5.0-6.0은 100 mM citrate buffer, pH 6.0-8.0은 10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8.0-9.0는 100 mM Tris-HCl buffer 그리고 pH 9.0-11.0은 100 mM glycine-NaOH buffer를 사용하였다.…”
Section: 사용균주 및 배지unclassified
See 3 more Smart Citations
“…JK1 균주를 사용하였다 (Lee et al, 2012 최적 pH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zocasein을 현탁시키는 완충액 의 pH를 5.0에서 11.0까지 1.0의 간격으로 조정하여 활성을 측 정하였다. 각 pH별 사용된 완충액은 pH 5.0-6.0은 100 mM citrate buffer, pH 6.0-8.0은 10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8.0-9.0는 100 mM Tris-HCl buffer 그리고 pH 9.0-11.0은 100 mM glycine-NaOH buffer를 사용하였다.…”
Section: 사용균주 및 배지unclassified
“…이중 식물과 동물에서 생산되는 효소는 세계적인 수요량을 충족시킬 수 없으며, 생명공학적 응용에 대한 특성을 충족시키 기 어렵기 때문에 미생물성 단백질분해효소를 이용하는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Rao et al, 1998;Kasana et al, 2011). 특히, 다 양성이 풍부한 미생물 유래의 단백질 효소가 다양한 종으로부터 보고되어 있으며, 같은 종의 균에서도 배양학적 조건에 따른 생 산성 향상 등이 많이 연구되었다 (Lee et al, 2012). 특히 생태계 에서 분해자로 역할을 하는 미생물은 세포와 대사과정에서 중요 한 세포내부의 단백질 분해효소 이외에도 세포외 환경에 존재하 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와 분해산물을 흡수하기 위해 세포외 단백 질 분해효소를 분비한다 (Kalisz, 1988).…”
unclassified
See 2 more Smart Citations
“…단백질 분해효소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을 위해 활 성이 높고 안정된 성질을 갖는 새로운 미생물 선별에 많은 노 력을 기울인 결과, Bacillus 속 이외에도 Alcaligenes (Thangam and Rajkumar, 2002), Chryseobacterium (Wang et al, 2008b;Lee et al, 2012), Micrococcus (Fernández et al, 1996;Cha et al, 2009), Pseudoalteromonas (Cha et al, 2007), Pseudomonas (Zeng et al, 2003), Pseudoxanthomonas (Cho et al, 2010), Serratia (Kwon et al, 1993), Shewanella (Kulakova et al, 1999), Vibrio (Denkin and Nelson, 1999 (Holmström and Kjelleberg, 1999;Bowman, 2007 …”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