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거칠기 길이는 바람장(풍향과 풍속), 운동량, 거칠기층, 경계층 고도, 난류 강도 등 대기의 흐름과 관련성이 높아 도시 경계층 연구에 적 용되었다 (Raupach, 1992;Grimmond and Oke, 1999 (Ratti and Richens, 1999;Priestnall et al, 2000;Ratti et al, 2006;Steiniger et al, 2008 (Landsberg, 1981;Grimmond and Souch, 1994;Voogt and Oke, 1997;Grimmond and Oke, 1999).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는 지표면 거칠기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특정 지역에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Lee and Park, 1997;Ha et al, 1998;Yoo et al, 2010;Yi et al, 2015 (Andréand Blondin, 1986;Hu et al, 2010;Wang et al, 2010;Salamanca et al, 2011;Cao and Lin, 2014;Park et al,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중심으로 구축된 고 해상도 지형고도, 지표이용도 그리고 지표면 거칠기를 이용하고 (Park et al, 2015;Yi et al, 2015 (Raupach, 1992;Macdonald et al, 1998;Dong et al, 2003;Ratti et al, 2006;Ng et al, 2011 (Landsberg, 1981;Ng et al,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