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DOI: 10.7745/kjssf.2019.52.4.520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Soil Organic Carbon Fractions and Stocks as Affected by Organic Fertilizers in Rice Paddy Soil

Abstract: This research evaluated the effect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ation (OF) on soil organic carbon (SOC) stock and fractions in rice paddy soil. The OF system consisted with NPK, NPK+Rice straw (NPK+RS), NPK+Cow compost (NPK+CC), NPK+Swine compost (NPK+SC) and no-fertilization (Control). Labile organic C fractions and humification rates were characterized and SOC stock was determined with bulk density and SOC content. Application of OF significantly SOC content by 7-12% and 23-33% over the NPK and control, whil…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2
1

Citation Types

0
0
0
3

Year Published

2021
2021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4

Relationship

1
3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4 publications
(3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27 publications
0
0
0
3
Order By: Relevance
“…이러한 결과는 의 선행연구에서 가축분퇴비의 사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연간 집적은 계분 (203 mg kg -1 ), 우분 (166 mg kg -1 ), 분뇨잔사 (125 mg kg -1 )순으로 높고 , 무기질 비료의 인산이 퇴비의 유기물원과의 결합으로 인해 토양에 집적되기 때문에 집적량이 증가한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Yoon, 1983;Kwak et al, 1990;Yang et al, 2006;Lee et al, 2020). (Six et al, 1999;Rasool et al, 2008;Hong et al, 2013;Lee et al, 2013;Hwang et al, 2019).…”
Section: Resultsunclassified
“…이러한 결과는 의 선행연구에서 가축분퇴비의 사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연간 집적은 계분 (203 mg kg -1 ), 우분 (166 mg kg -1 ), 분뇨잔사 (125 mg kg -1 )순으로 높고 , 무기질 비료의 인산이 퇴비의 유기물원과의 결합으로 인해 토양에 집적되기 때문에 집적량이 증가한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Yoon, 1983;Kwak et al, 1990;Yang et al, 2006;Lee et al, 2020). (Six et al, 1999;Rasool et al, 2008;Hong et al, 2013;Lee et al, 2013;Hwang et al, 2019).…”
Section: Resultsunclassified
“…최근 국내에서는 논 토양에 볏짚을 투입했을 때 탄소 저장 확인을 위한 연구 (Hwang et al, 2019;Byeon et al, 2022)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한 유기물 관리 측면 (Lee et al, 2020;Gwon et al, 2022)…”
Section: Introductionunclassified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농업환경변동조사 사업 등을 통해 논 (Hwang et al, 2019), 밭 (Ahn et al, 2020;, 과수원 (Ahn et al, 2020;Kim et al, 2021) 등 농경지 유형별 토양 탄소 함량을 조사하고 있다. 토양 탄소 함량은 기본적으로 기후, 식생, 지형 등 토양 생성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Wiesmeier et al, 2019), 농경지에서는 투입 되는 유기물의 종류와 양 (Karhu et al, 2012), 그리고 토양 유기물의 물리화학적 안정화와 관련된 토양 특성 (토성, pH, 점토 함량 등) (Wiesmeier et al, 2019;Park et al, 2022)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Section: Introduction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