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2 에 제시하였듯이 8개 하위 항목별 문항의 Cronbach's α 계 수를 살펴보면, "male's voice", "female's voice", "child's voice", "music", "localization", "speech in quiet", "speech in noise-front", "speech in noise-separate" 항목 순서대로 (Akeroyd & Whitmer, 2011;Blauert, 1996;Middlebrooks & Green, 1991). 건청인에 비해 난청인은 저하된 공간청취능력을 보이며, 난청의 정도, 형태, 비대칭 정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 으므로 (Kumpik & King, 2019;Noble et al, 1994;Noble & Gatehouse, 2006) 난청인의 재활을 계획할 때 순음청력검 사, 어음청력검사와 같은 기본적인 청력검사 외에 난청인의 공 간청취능력을 객관적 혹은 주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Gatehouse & Noble, 2004;Köbler et al, 2010;Lee, 2022;Perreau et al, 2014a;Perreau et al, 2014b;Tyler et al, 2009). Kong et al(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