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학생들의 판구조론과 관련된 여러 현상 이해를 위한 구체적 비유물을 활용한 연구 (이지은 외, 2003) 로서 판구조론 개념을 맥락으로 진행된 연구들, 정보 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과학 탐구능력 및 정의적 영역의 효과에 관한 연구 (정진우 외, 2004), 판 경계 부에 대한 이해의 유형을 비교한 연구 (박수경, 2009; 정구송, 2009), 판 구조론에 대한 오개념을 분석한 연구 (정경진 외, 2007; 최성철과 안건상, 2008)에 그 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하고, 경험적 공간 의 한계를 넘어서는 다양한 개념들, 지구의 내부 구 조, 지질구조, 판의 운동과 판 경계부 등 판구조론에 관련된 개념들의 이해는 공간능력의 발달과 매우 밀 접하게 연관되고 있음이 알려지고 있다 (Black, 2005;Burton and Mattietti, 2011;Pretty and Rule, 2008;Self and Golledge, 1994;Titus and Horsman; (Kali and Orion, 1996), 지하수와 관련된 개 념을 연구하거나 (정진우 외, 2009;Pretty and Rule, 2008), 층서와 시간의 관련 개념을 조사한 연구 (Burton and Mattietti, 2011), 판의 분포와 판의 경계부에 대 한 오개념을 조사한 연구 (정경진 외, 2007 Table 3. Nonpaired t-test of achievement of plates' motion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