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DOI: 10.7745/kjssf.2020.53.4.54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Statu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in Gangwon Province between 2001 and 2017

Abstract: Byeong Sung Yoon http://orcid.org/0000-0002-4301-511X-1,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e study imply that environment-friendly soil managements including the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 and application of organic compost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fields.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21
2021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2

Relationship

1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2 publications
(3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5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2022년의 토양 pH는 6.3 (3.7 -8.0), EC는 0.82 (0.13 -7.74) dS m -1 , 유기물은 38 (3 -142) g kg -1 , 유효인산은 803 (24 -3,114) mg kg -1 , 교환성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각각 1.22 (0.10 -8.70), 7.2 (1.3 -23.6), 2.0 (0.5 -7.0) cmol c kg -1 이었다. pH는 2002년 5.9에서 2014년 6.2, 2022년에는 6.3으로 높아졌 27.5%였다 (Yoon et al, 2020).…”
Section: Results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2022년의 토양 pH는 6.3 (3.7 -8.0), EC는 0.82 (0.13 -7.74) dS m -1 , 유기물은 38 (3 -142) g kg -1 , 유효인산은 803 (24 -3,114) mg kg -1 , 교환성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각각 1.22 (0.10 -8.70), 7.2 (1.3 -23.6), 2.0 (0.5 -7.0) cmol c kg -1 이었다. pH는 2002년 5.9에서 2014년 6.2, 2022년에는 6.3으로 높아졌 27.5%였다 (Yoon et al, 2020).…”
Section: Resultsunclassified
“…강원특별자치도의 논 토양의 pH와 유기물, 교환성 칼륨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효인산, 교환성 칼슘, 교환성 마그 네슘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효규산은 적정범위였다 (Yoon et al, 2016). 밭 토양의 pH, 유효인산, 교환성 칼륨, 교환성 칼슘, 교환성 마그네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와 교환성 마그네슘은 적정범위에 있었으나 교 환성 칼륨과 칼슘은 적정범위를 초과하였다 (Yoon et al, 2020).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과수원 토양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토양개량과 시비 체계 개선 및 농업환경 보전을 위하여, 과수원 80지점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22년까 지 4년 주기로 6회에 걸쳐 화학성을 분석하여 비옥도의 현황과 변동을 평가하였다.…”
unclassified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은 논의 면적이 밭의 면적보다 넓지만, 강원도, 대전 광역시, 서울특별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북도의 경우 밭 작물이 논 작물에 비해 많이 재배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는 지역적 특성에 맞춰 논을 경작하기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거나, 계속된 도시화, 경지의 건물 건축 및 유휴지 이 용 등의 이유로 농경지의 면적이 감소 추이에 있기 때문이다(Lee et al, 2012;Yang et al, 2020;Yoon et al, 2020).가장 많은 논 면적을 차지하는 전라남도의 경우 2013년에 비해 2020년에 논 면적은 23,506 ha 감소했지만, 밭 면적의 경우 4,100 ha 증가하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급격한 쌀 소비량 감소로 인한 논을 밭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었기 때 문이다(Kim et al, 2018a;Statistics Korea, 2020). 전라북도의 경우 2013년에 비해 2020년에 약 10%의 밭 경작 면적 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특용작물 중 들깨의 재배면적 증가가 밭 경작지 면적 증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있다 (KOSIS, 2020).…”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