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DOI: 10.5723/kjcs.2014.35.5.63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Force As Used among Two Young Children in Rough-and-Tumble Play When Using Combative Object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how two young children understand force in rough-and-tumble play. For this purpose, a form of microanalysis (Forman, 2006) was used. They regarded black as the strongest color due to their daily experiences. They assumed that a structure made of black Lego-color-bricks would be strongest and made an experiment of beating it against blocks of other colors. Such repetitive behavior ultimately led them to realize that color had no correlation with strength. They also unde…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Citation Types

0
0
0
1

Year Published

2015
2015
2015
2015

Publication Types

Select...
1

Relationship

1
0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 publication
(1 citation statement)
references
References 5 publications
0
0
0
1
Order By: Relevance
“…구성놀이 과정에서는 사고를 표상하여 결과 물을 만들어 내므로 만들어진 표상의 결과물을 도구로 관찰하고 실험하는 경험에서 오개념에 모순이 일어나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Baik, 2014). 오개념이란 일상생활의 경험과 관 련하여 과학적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잘못된 개 념을 일컫는데 (An & Kim, 2009;Forman & Landry, 1999;Kwak, 2002;Shawn, Russell, & Bruce, 1991/2000Song, 2003), 이는 유아들의 문화적․개인적 경험의 결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쉽게 변화되지 않고 오히려 강화되거나 학습한 과학적 개념과 병존하기도 한다 (Gilbert, Osborne, & Fensham, 1982;Osborne & Freyberg, 1985 (Baik, 2014;Yang, 2003 (Forman & Landry, 1999;Shawn et al, 1991Shawn et al, /2000…”
unclassified
“…구성놀이 과정에서는 사고를 표상하여 결과 물을 만들어 내므로 만들어진 표상의 결과물을 도구로 관찰하고 실험하는 경험에서 오개념에 모순이 일어나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Baik, 2014). 오개념이란 일상생활의 경험과 관 련하여 과학적 지식의 관점에서 보면 잘못된 개 념을 일컫는데 (An & Kim, 2009;Forman & Landry, 1999;Kwak, 2002;Shawn, Russell, & Bruce, 1991/2000Song, 2003), 이는 유아들의 문화적․개인적 경험의 결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쉽게 변화되지 않고 오히려 강화되거나 학습한 과학적 개념과 병존하기도 한다 (Gilbert, Osborne, & Fensham, 1982;Osborne & Freyberg, 1985 (Baik, 2014;Yang, 2003 (Forman & Landry, 1999;Shawn et al, 1991Shawn et al, /2000…”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