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강우가 유역 시스템에 입력되어 홍수량으로 유출되는 경우 유역을 시불변한 (Time-Invariant) 선형 시스템(Linear System)으로 보 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유역 유출에서 이와 같은 선형성(Linearity)의 가정에 대한 논란은 오래되어 왔다 (Minshall, 1960;Amorocho and Orlob, 1961;Amorocho, 1963;Amorocho and Hart, 1964;Singh, 1964;Diskin, 1964;Kulandaiswamy, 1964;Dooge, 1967;Pilgrim, 1976;Singh, 1979;1988).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선형 유출해석 의 어려움에 비하여 단위유량도 이론의 간편성 때문에 국 내에서도 단위유량도에 관하여 많이 연구되고 이용되어 왔다 (김상용, 1972; 건설부, 1974; 윤용남과 선우중호, 1975; 윤용남과 심순보, 1976; 김재한과 이원한, 1980; 선 우중호와 고영찬, 1986; 이순탁과 박종권, 1987; 이정식 등, 198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89; 권오헌 등, 1993; 김 재한과 윤석영, 1993; 전시영, 1994; 김상단 등, 2000; 박진 욱 등, 2000; 안태진 등, 2000; 정성원과 문장원, 2001; 허 창환과 이순탁, 2002; 김주철 등, 2003; 전민우, 2003; 신현 석 등, 2004; 성기원, 2008; 김홍태와 신현석, 2009 Class A Sample Classified Derived Unit Hydrographs by the Rainstorms Ⅰ G1-3 G1-3, G1-4, G1-8, G1-10, G2-4 Ⅱ G2-3 G1-1, G1-2, G1-7, G1-9, G2-2, G2-3, G2-5, G2-6, G2-10, G2-12, G2-14, G2-16 Ⅲ G2-13 G2-1, G2-9, G2-11, G2-13, G2-15 Ⅳ G1-6 G1-5, G1-6, G2-7, G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