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주 양육자의 삶 만족도는 자녀와의 관계를 우호적이고 긍정적으로 형성하게 하여 아직까지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아동의 삶 만족도를 높이게 된 다 (Suldo & Huebner, 2004). 주 양육자의 삶 만족도는 아동의 삶 만족도와 정적 상관 관계를 보이며 주 양육자가 행복할수록 아동 또한 행복한 경향을 보인다 (Hoy, 2011;Kim & Han, 2017 (Chang et al, 2003;Cotterell, 1992;Kim et al, 1998;Lee, 2009;Moon & Lee, 2008;Oh & Ryu, 2017;Yoo et al, 2005), 삶 만족도가 높은 청소년은 부모, 또래, 교사와 더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스트레스 수준이 더 낮게 나타나는 (Gilman & Huebner, 2006) (Kim & Choi, 2011;Kim, 2015;Oh, 2012) 아동기의 삶의 만 족도는 이후 성인이 되었을 때의 삶 만족도와도 연결된다 (Kim & Han, 2017 (Kang, 2015), 주 양육자의 삶 만족도와 아동의 삶 만족도 간 관 계 (Han, 2018;Kim & Han, 2017), 아동의 삶 만족도와 학대 간 관계 (Kim, 2018) LGM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