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DOI: 10.12652/ksce.2013.33.1.171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Analysis of Debris Flow Type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Abstract: In recent years in Korea, Typhoon Rusa (2002), Typhoon Maemi (2003), and the localized extreme rainfall followed by Typhoon Ewiniar in 2006 devastated residential areas, roads, and agricultural lands in Gangwon province where 90% of the area is in mountainous regions. Most of the economic losses and casual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area near the mountain valleys and creeks due to the floods and debris flows. In this study, DATABASE, which includes a total 180 debris flow events in the Gangwon area, was crea…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2

Year Published

2013
2013
2023
2023

Publication Types

Select...
6

Relationship

0
6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6 publications
(2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5 publications
0
0
0
2
Order By: Relevance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특히 피해 발생 여부와 피해액 추정을 위한 여러 모형이 제시되었다. 자연재해 원인별로 재해를 유발하 는 한계치(triggle or threshold)를 설정하여 재해 발생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연구로 Kim et al (2018) 재해 유발 한계치와 관련된 가장 활발한 연구 분야 중 하나는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로, Guzzetti et al (2007), Brunetti et al (2010)은 Bayesian inference method, Frequentist method를 이용하여 강우 한계치를 강우지속기간과 강우강 도의 관계로 설명하였고, 국내에서는 Choi (1989)에 의하여 연속강우량과 시간강우강도 개념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 을 설명한 이후로 Hong et al (1990), Lee (1991), Kim et al (1998), Kim and Jung (2000), Yang et al (2007), Yun et al (2010) 등에 의하여 강우강도 또는 특정 강우지속기간 동안의 강우량을 이용한 강우 한계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Ham and Hwang, 2014에서 재인용). Ham and Hwang (2014)…”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특히 피해 발생 여부와 피해액 추정을 위한 여러 모형이 제시되었다. 자연재해 원인별로 재해를 유발하 는 한계치(triggle or threshold)를 설정하여 재해 발생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연구로 Kim et al (2018) 재해 유발 한계치와 관련된 가장 활발한 연구 분야 중 하나는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로, Guzzetti et al (2007), Brunetti et al (2010)은 Bayesian inference method, Frequentist method를 이용하여 강우 한계치를 강우지속기간과 강우강 도의 관계로 설명하였고, 국내에서는 Choi (1989)에 의하여 연속강우량과 시간강우강도 개념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 을 설명한 이후로 Hong et al (1990), Lee (1991), Kim et al (1998), Kim and Jung (2000), Yang et al (2007), Yun et al (2010) 등에 의하여 강우강도 또는 특정 강우지속기간 동안의 강우량을 이용한 강우 한계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Ham and Hwang, 2014에서 재인용). Ham and Hwang (2014)…”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이외에도 중국 및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구 및 구축하였다 (Lee, 2015). 뿐만 아니라,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산사태 및 경사지 붕괴 예⋅경 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Sakaki et al, 2010;Anderson et al, 2011;Maskrey, 2011) (Lee, 1991;Kim & Jung, 2000;Kim, 2008;Kim et al, 2011;Jun et al, 2013). 또한 Hong et al (1990) (Kang et al, 2017).…”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