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연구에서 도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범죄율 또는 사고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 한다 (Marans and Stimson, 2011;Ibem and Aduwo, 2013;De Vos and Witlox, 2017). 본 연구에서 추출된 안전영역 지표는 거리의 안전함, 범죄대응, 대피소의 위치와 개수 등을 측정하는 도시안전 (Zhan et al, 2018;Majid et al, 2020;Elmahdy et al, 2021), 범죄발생율, 범죄예방, 경찰비율을 측정하는 범죄안전 (Badland et al, 2014;Alderton et al, 2019), 공공안전과 서비스 (Liang et al, 2020;Majid et al, 2020), 도로안전 (Elmahdy et al, 2021), 기후변화 및 재난대응 (Ho et al, 2020;Liang et al, 2020;Majid et al, 2020), 주거환경의 안전함을 측정하는 만족도 (Leby and Hashim, 2010)를 포함한다. 장기지표는 자연재해, 범죄, 노후시설로 부터의 안전과 같이 계획과 관련된 지표이며 단기는 횡단보 도의 안전 및 안전한 통학로가 있다 (Elmahdy et al,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