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DOI: 10.12963/csd.14113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from Grades 1 to 3

Abstract: Objectives: Morphological awareness is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semantic units and manipulate their structures.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researches suggest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s.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reading ability, studies on the relation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are limited to the Korean langu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8

Year Published

2015
2015
2022
2022

Publication Types

Select...
8

Relationship

0
8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13 publications
(8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6 publications
0
0
0
8
Order By: Relevance
“…음운기억력은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와 함께 초기 읽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Kim & Kim, 2009), 낱말 읽기 및 낱말 쓰기와 작업 기억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선행연구가 있다 Kim & Schatschneider, 2017 (Jeong, 2014;Kim, 2009;Kim & Petscher, 2011;Schatschneider, Fletcher, Francis, Carlson, & Foorman, 2004). 또한 자소 지식은 자소와 음소의 대응규칙 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Puranik et al, 2011 (Cho et al, 2008;Jung, 2014;Kim, 2012;Kim & Jung, 2015;Kim, Kim, & Cho, 2015 (Kim et al, 2014;Kim & Petscher, 2011 (Kim & Kim, 2009;Park, S. G. et al, 2013;Yang, Kim, & Ra, 2017;Cho et al, 2008;Kim & Petscher, 2011 (Jeong, 2014;Kim, 2009;Kim & Petscher, 2011;Schatschneider et al, 2004 (Cho et al, 2008;Kim, 2012;Jung, 2014;Kim & Jung, 2015;…”
Section: 이중경로모형(Dualunclassified
“…음운기억력은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와 함께 초기 읽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Kim & Kim, 2009), 낱말 읽기 및 낱말 쓰기와 작업 기억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선행연구가 있다 Kim & Schatschneider, 2017 (Jeong, 2014;Kim, 2009;Kim & Petscher, 2011;Schatschneider, Fletcher, Francis, Carlson, & Foorman, 2004). 또한 자소 지식은 자소와 음소의 대응규칙 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Puranik et al, 2011 (Cho et al, 2008;Jung, 2014;Kim, 2012;Kim & Jung, 2015;Kim, Kim, & Cho, 2015 (Kim et al, 2014;Kim & Petscher, 2011 (Kim & Kim, 2009;Park, S. G. et al, 2013;Yang, Kim, & Ra, 2017;Cho et al, 2008;Kim & Petscher, 2011 (Jeong, 2014;Kim, 2009;Kim & Petscher, 2011;Schatschneider et al, 2004 (Cho et al, 2008;Kim, 2012;Jung, 2014;Kim & Jung, 2015;…”
Section: 이중경로모형(Dualunclassified
“…어휘나 문법 및 구문지식을 토대로 한 문장이해, 문장 산출 능력 은 기본적인 언어 능력으로써 읽기이해에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성 공적인 읽기이해를 위해 일반적인 이해와 표현뿐 아니라 상위언어 능력(metalinguistic skill)의 중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Jung, 2014;Nation, Clarke, Marshall, & Durand, 2004;Roman, Kirby, Parrila, Wade-Woolley, & Deacon, 2009;Wolter & D'zatco, 2009) (Cain, 2010). 형태인식 (morphological awareness)능력은 단어를 구성하는 가장 작고 기 본적인 문법단위인 형태소의 구조를 의식적으로 인식하고 그 구조 를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이다 (Tong, Deacon, & Cain, 2014).…”
unclassified
“…형태소 인식은 어휘의 형태적 구조와 그 구조를 파악하고 조작할 수 있는 상위언어적 인식으로, 이는 청소년기까지 발달이 지속된다 (Carlisle, 2010). 한국어의 형태론적 구조 중 어근과 어근의 결합인 합성어와 어근과 접사의 결합인 파생어는 두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 진 복합어로, 이러한 형태소의 인식 능력은 어휘 내 형태소의 분리 와 합성을 통해 어휘 생성의 원리를 이해하고 새로운 어휘를 해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Jung, 2014). 단어의 구성 요소인 형태소에 대 한 지식이 향상되면 더욱 빠르게 단어를 인지하게 되고, 효율적인 단어읽기를 통해 어휘력 신장과 더 나아가 글에 대한 이해도 촉진 할 수 있다 (Kim & Chung, 2017).…”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