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
DOI: 10.1016/s0012-8252(00)00029-5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1
1

Citation Types

1
425
2
19

Year Published

2012
2012
2022
2022

Publication Types

Select...
7
2

Relationship

0
9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711 publications
(447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95 publications
1
425
2
19
Order By: Relevance
“…또한 임진계 지층이 현재의 분포지에서 퇴적되었다는 주장에 대한 근거로 강원도 철원군 대 전리에 분포하는 안협통 하부의 사질역암층을 기저역 암으로 해석하였다 (Pak and Kang, 1987;Pak, 1996). 그러나 다른 북한 연구자들은 이러한 사질역 암층이 기저역암이 아닌 구조 활동에 의해 생성된 각 력암일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Kim and Kang, 1993), 최근 황해북도 금천군 현내리에서 제안된 충 상단층의 존재는 (Cluzel et al, 1990(Cluzel et al, , 1991Cluzel, 1992aCluzel, , 1992bChough et al, 2000), 이와 함께 임 진강대와 평남분지의 동서 방향 습곡과 충상단층이 압축력에 의한 변형을 지시하며 (Kim, 1993;Chough et al, 2000), 이 사실에 근거하여 임진강대를 중국의 다비-술루 벨트의 동쪽 연장으로 보는 다수의 의견들 이 제시되었다 (Yin and Nie, 1993;Cho et al, 1995Cho et al, , 2007Ree et al, 1996;Kwon et al, 2009). (Ree et al, 1996) (Fig.…”
Section: 임진계의 분포와 층서unclassified
“…또한 임진계 지층이 현재의 분포지에서 퇴적되었다는 주장에 대한 근거로 강원도 철원군 대 전리에 분포하는 안협통 하부의 사질역암층을 기저역 암으로 해석하였다 (Pak and Kang, 1987;Pak, 1996). 그러나 다른 북한 연구자들은 이러한 사질역 암층이 기저역암이 아닌 구조 활동에 의해 생성된 각 력암일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Kim and Kang, 1993), 최근 황해북도 금천군 현내리에서 제안된 충 상단층의 존재는 (Cluzel et al, 1990(Cluzel et al, , 1991Cluzel, 1992aCluzel, , 1992bChough et al, 2000), 이와 함께 임 진강대와 평남분지의 동서 방향 습곡과 충상단층이 압축력에 의한 변형을 지시하며 (Kim, 1993;Chough et al, 2000), 이 사실에 근거하여 임진강대를 중국의 다비-술루 벨트의 동쪽 연장으로 보는 다수의 의견들 이 제시되었다 (Yin and Nie, 1993;Cho et al, 1995Cho et al, , 2007Ree et al, 1996;Kwon et al, 2009). (Ree et al, 1996) (Fig.…”
Section: 임진계의 분포와 층서unclassified
“…한반도 북부는 북중국 대륙괴, 남부는 양쯔강 대륙 괴에 기반해 있으며, 두 대륙괴의 안정성으로 인해 한반도의 지진 발생 빈도가 적고 발생 규모도 작다 (Reedman과 Um, 1975;Chough, 2000). 계기지진 분석 결과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지진은 대 부분 중생대 지각변동에 의해 생성된 NNE-SSW 주향 활성단층이 역단층 매커니즘에 의해 깨어지는 과 정에서 발생하는데, 그 때 활성단층에 가해지는 힘은 유라시아 판이 태평양 판, 필리핀 판과 그리고 인 도 판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E-W 혹은 ENE-WSW 방향의 압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Lee, 2010;Jun과 Jeon, 2010;Shimazaki, 1984).…”
Section: 서론unclassified
“…The NE-trending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intruded the Precambrian Gyeonggi and Yeongnam massifs, and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during the Mesozoic magmatism (Kim et al, 1996;Chough et al, 2000;Sagong et al, 2005;Park et al, 2010). Some of the granitoids were mylonitized due to crustal-scale ductile shearing that produced the Honam shear zone (Fig.…”
Section: Introductionmentioning
confidence: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