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DOI: 10.9798/kosham.2017.17.3.40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The Calculation of NPS Load per Unit Area in Paddy Fields to the Nakdong River Basin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2
1

Citation Types

0
0
0
4

Year Published

2019
2019
2024
2024

Publication Types

Select...
4

Relationship

0
4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4 publications
(4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0 publications
0
0
0
4
Order By: Relevance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농업비점오염원의 오염부하특성을 비 교하기 위해 EMCs 및 원단위를 주로 사용한다. [14][15][16][17][18][19][20] 농업용 비점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의 농도는 강우 시 발생하는 유량에 따라 변화 폭이 매우 크다. 20,36) 따라서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평균 농도를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강우 사상에 따른 평균 농도를 의미하며, 유량의 변화를 고려한 유량가중 평균농도를 주로 사용한다.…”
Section: 국내 토지이용형태별 농업비점오염원 Emcsunclassified
See 1 more Smart Citation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농업비점오염원의 오염부하특성을 비 교하기 위해 EMCs 및 원단위를 주로 사용한다. [14][15][16][17][18][19][20] 농업용 비점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의 농도는 강우 시 발생하는 유량에 따라 변화 폭이 매우 크다. 20,36) 따라서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평균 농도를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강우 사상에 따른 평균 농도를 의미하며, 유량의 변화를 고려한 유량가중 평균농도를 주로 사용한다.…”
Section: 국내 토지이용형태별 농업비점오염원 Emcsunclassified
“…따라서 강우 시 유출되는 배출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유량가중평균농 도(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를 계산하며, [14][15][16][17][18] 이를 활용하여 원단위를 산정한다. 19~20) 이와 관련해 다양한 실험 조건 및 토지이용형태 중 논에서의 EMCs와 원단위를 산정하 여 강우 사상 및 강우계급에 따른 오염물질의 농도변화를 관 측・분석하였으며, 19) 밭과 고랭지 밭의 경우 EMCs, 원단위를 산정하여 유출특성을 비교・분석하고, 20) 비닐하우스에서의 EMCs와 원단위 등을 산정하고 작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등 [22][23] 다양한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농업비점오염원의 EMCs…”
unclassified
“…비점오염원에는 토사, 영양물질, 유기물 질, 박테리아 및 중금속 등이 포함되어 있다 (Okochi and McMartin, 2012). 이러한 비점오염원이 강우 시 지표에 축적 되어있던 각종 오염물질들이 유출되어 단시간 내에 강과 하천에 유입되어 수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Kwon et al, 2017).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점오염원 위주의 수질관리가 시행되고 있으나, 4대강 수계에 미치는 비점오 염원의 부하는 4대강으로 유입되는 전체 오염원의 약 22-40%를 차지한다 (Lee and Lee, 2009).…”
Section: 서 론unclassified
“…우리나라의 수계오염관리는 주로 점오염원에 대해 집중 적으로 관리가 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점오염 원에 의한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Lee and Lee, 2009). 주로 도시의 도로 및 주거지역과 농촌의 논, 밭, 임야에 서 강우유출수 형태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토사, 유기 물질, 박테리아,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근원지와 발생빈 도가 불분명하고 초기 세척효과로 인해 짧은 시간 내에 고농도로 유출되는 특성을 갖고 있어 (Kim and Kang, 2004)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Kwon et al, 2017). 비점 오염원은 근원지를 통제하기 어려우며 유출될 시 흐름을 예측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Kim et al, 2006).…”
Section: 서 론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