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livestock breeding is more focused on the meat quality rather than meat quantity, mainly due to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income. Among the meat quality traits, meat color is one of very important traits because meat color is the first selection criterion from the consumers in the market. Most of the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have continuous variations and these are called quantitative traits. the genomic locations affecting these traits are called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which is mostly controlled by many genes having small effects. In this study, the recent QTL and candidate gene studies were reviewed in order to meet the consumers' demand for the future market. In the chicken QTL database, three traits are related with meat colors, namely breast color (Bco), meat color (Mco), drip loss (DL) and pH. The identified number of QTLs is 33 from 13 chromosomal regions. In these QTL regions, 14 candidate genes were identified; Eight for meat color (APP, BCMO1, COL1A2, FTO, KPNA2, PSMD12, G0S2, FTSJ3), two for drip loss (AGRP, FTO) and four for pH (GALNT1, PCDH19, DIAPH1, SPP2). These QTLs and candidate genes need to be confirmed and fine mapping is ultimately needed for identification of causative variations. The recently developed chicken resource population using Korean native chicken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of meat quality traits, which increase the value that needed in the chicken industry. 식육의 색은 육제품으로써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때 가장 먼저 선택의 기준이 되는 관능 형질의 하나이기 때문에, 육 색은 제품의 상품성과 판매에 직결되어 경제적으로 매우 중 요한 형질이라고 볼 수 있다 (Mancini and Hunt, 2005). 기존 의 육색에 대한 연구는 식육의 수분이 포함된 정도인 보수 력에 영향을 받고, 이러한 보수력의 차이는 사후강직시에 일 어나는 pH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Fletcher, 1999;Qiao et al., 2001;Huff-Lonergan and Lonergan, 2005). 또한, 이러한 결과는 수분이 많고 창백한 색깔의 PSE 육이나, 수분이 적고 어두운 색깔의 DFD 육과의 association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Fletcher, 1999;Barbut et al., 2008). 이러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닭을 포함한 소와 돼지의 연구에서 식육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형질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도 하였고, 최근에는 많은 수의 마커를 이용한 genome-wide mapping 연구가 발전하면서 육색의 원인 유전자 를 탐색하는 연구가 수행되기 시작했다 (Groenen et al., 2009;Gu et al., 2011).Genome-wide QTL mapping(GWL)과 Genome-wide association(GWA) 연구는 질적 표현형질이 아닌 양적 표현형질 에 대해서 유전체 전반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있는 유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