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citation statements
Paper Sections
Citation Types
Year Published
Publication Types
Relationship
Authors
Journals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spital nurses' recognition of the team syste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as an organizational structure.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47 general hospital nurses during 4 months in 2013.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factor analysis with SPSS 18.0.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t=2. 06, p=.153) or effect of team structure (t=0.36, p=.549) according to use of team system. In hospitals with a team system,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the team system and age (r=.25, p=.033), and total clinical career (r=.26, p=.012). In hospitals not using a team system,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as an organizational system (r=.31, p<.001),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total (r=.30 p<.001)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effects of team system.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retrospection view of the team system in nursing organizational systems. The nursing team system's ultimate goal needs to be confirmed for complementary nursing care. Also, more studies on nurses' perceptions of, and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are necessary.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팀제는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산업계와 공공기관 등에 도입되었다[1,2]. 의료계에서도 국민의 건강권에 대한 인식과 평균수명의 증가 등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 역시 증가되면서 최상의 의료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조직운영의 효과성을 필연적으로 추구 하게 되었고 1990년대 중후반부터 일부 병원을 중심으로 전 통적인 과 ‧ 부장제도의 관료조직이 팀제도로 이행되기 시작 했다[3,4]. 기존의 관료조직은 과 ‧ 부장 제도를 중심으로 한 형태를 지 니며, 과 ‧ 부장 제도는 기관의 조직 표에서 라인조직이 전형적 ⓒ 2014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Vol. 20 No. 4, 2014 415 병원의 간호팀제운영에 따른 간호사의 인식과 효과 비교 인 수직적인 구조중심이다. 즉 하위 직급부터 상위 직급까지 일선직원, 계장 혹은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의 직급이 정해 져 있으며 직급의 숫자도 피라미드 형태로 상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전통적인 관료조직은 명령계통의 일원화 등의 강점이 있는 반면, 조직운영 측면에 서 유능한 하급직원의 승진 기회 감소 및 인사적체를 가져오 고, 이에 따른 안일한 업무처리와 구성원의 사기저하[5], 계층 화에 따른 조직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의 지연, 신속한 의사결정 의 어려움 등이 단점으로 보고되고 있다[2,3,6,7]. 반면에 팀제는 조직운영의 기본적인 핵심 단위를 팀으로 하 여 조직을 수평적으로 재편하고, 계층도 팀장과 팀원으로 평 평하게 구성하여 팀 리더를 중심으로 단일목표에 대한 공동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유기체적 조직으로 구성된다[4-6]. 운영 에 있어서는 팀 스스로 관리, 계획, 통제, 기존 업무 개선, 문제 를 해결하며[4,7], 조직운영의 핵심적인 기능인 인사평가에 있 어서도 과거의 능력이나 태도 위주의 평가보다 보직기간동안 수행한 업적을 평가하며 이를 성과급이나 연봉책정, 직급승 진, 차후 보직 재임명 등에 반영하는 등[3,7], 팀제 도입은 조직 구조의 변화는 물론이고 내부적으로 운영측면에서도 변화를 동반한다[4,6]. 또한 일선 직원에게는 유연한 상황대처 능력과 다양한 업무프로세스의 분석, 평가 및 재설계 등으로 전반적 인 업무의 질적인 개선을 가져온다[3,6,7]. 우리나라의 일부 의료기관에 도입된 팀제 운영에 대해 살펴 보면, 팀제로의 조직 구조를 변경함에 따라 조직의 구조 변경 과 내부조직 운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5,6]. 이는 팀제가 구조뿐만이 아니라 업무수행 내용 면에 서도 간호교육이나 인사, 행정, 물품 관리, 타 부서와의 업무 추진이나 협의해결 등 과거 간호 부서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 권화된 형태에서, 교육, 행정 등의 관...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spital nurses' recognition of the team syste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as an organizational structure.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47 general hospital nurses during 4 months in 2013.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factor analysis with SPSS 18.0.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t=2. 06, p=.153) or effect of team structure (t=0.36, p=.549) according to use of team system. In hospitals with a team system,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the team system and age (r=.25, p=.033), and total clinical career (r=.26, p=.012). In hospitals not using a team system,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as an organizational system (r=.31, p<.001), nurses' recognition of team structure, total (r=.30 p<.001)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effects of team system.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retrospection view of the team system in nursing organizational systems. The nursing team system's ultimate goal needs to be confirmed for complementary nursing care. Also, more studies on nurses' perceptions of, and effectiveness of the team system are necessary.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팀제는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산업계와 공공기관 등에 도입되었다[1,2]. 의료계에서도 국민의 건강권에 대한 인식과 평균수명의 증가 등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 역시 증가되면서 최상의 의료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조직운영의 효과성을 필연적으로 추구 하게 되었고 1990년대 중후반부터 일부 병원을 중심으로 전 통적인 과 ‧ 부장제도의 관료조직이 팀제도로 이행되기 시작 했다[3,4]. 기존의 관료조직은 과 ‧ 부장 제도를 중심으로 한 형태를 지 니며, 과 ‧ 부장 제도는 기관의 조직 표에서 라인조직이 전형적 ⓒ 2014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http://www.kanad.or.kr Vol. 20 No. 4, 2014 415 병원의 간호팀제운영에 따른 간호사의 인식과 효과 비교 인 수직적인 구조중심이다. 즉 하위 직급부터 상위 직급까지 일선직원, 계장 혹은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의 직급이 정해 져 있으며 직급의 숫자도 피라미드 형태로 상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전통적인 관료조직은 명령계통의 일원화 등의 강점이 있는 반면, 조직운영 측면에 서 유능한 하급직원의 승진 기회 감소 및 인사적체를 가져오 고, 이에 따른 안일한 업무처리와 구성원의 사기저하[5], 계층 화에 따른 조직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의 지연, 신속한 의사결정 의 어려움 등이 단점으로 보고되고 있다[2,3,6,7]. 반면에 팀제는 조직운영의 기본적인 핵심 단위를 팀으로 하 여 조직을 수평적으로 재편하고, 계층도 팀장과 팀원으로 평 평하게 구성하여 팀 리더를 중심으로 단일목표에 대한 공동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유기체적 조직으로 구성된다[4-6]. 운영 에 있어서는 팀 스스로 관리, 계획, 통제, 기존 업무 개선, 문제 를 해결하며[4,7], 조직운영의 핵심적인 기능인 인사평가에 있 어서도 과거의 능력이나 태도 위주의 평가보다 보직기간동안 수행한 업적을 평가하며 이를 성과급이나 연봉책정, 직급승 진, 차후 보직 재임명 등에 반영하는 등[3,7], 팀제 도입은 조직 구조의 변화는 물론이고 내부적으로 운영측면에서도 변화를 동반한다[4,6]. 또한 일선 직원에게는 유연한 상황대처 능력과 다양한 업무프로세스의 분석, 평가 및 재설계 등으로 전반적 인 업무의 질적인 개선을 가져온다[3,6,7]. 우리나라의 일부 의료기관에 도입된 팀제 운영에 대해 살펴 보면, 팀제로의 조직 구조를 변경함에 따라 조직의 구조 변경 과 내부조직 운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5,6]. 이는 팀제가 구조뿐만이 아니라 업무수행 내용 면에 서도 간호교육이나 인사, 행정, 물품 관리, 타 부서와의 업무 추진이나 협의해결 등 과거 간호 부서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 권화된 형태에서, 교육, 행정 등의 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as perceived by nur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278 staff nurses currently working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Korea. SPSS/WIN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Results: Nurses'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31, p<.001) and emotional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as perceived by nurses (r=.53, p<.001). Also,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experienced by nurse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nurs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hospital should offer education and training to booster head nurses' leadership by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mote staff job satisfaction.
scite is a Brooklyn-based organization that helps researchers better discover and understand research articles through Smart Citations–citations that display the context of the citation and describe whether the article provides supporting or contrasting evidence. scite is used by students and researchers from around the world and is funded in part by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and the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ustomersupport@researchsolutions.com
10624 S. Eastern Ave., Ste. A-614
Henderson, NV 89052, USA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Copyright © 2025 scite LLC. All rights reserved.
Made with 💙 for researchers
Part of the Research Solutions 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