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사리(Ceratopteris thalictroides (L) Brongn.)는 물고 사리과(Parkeri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양치식물이며, 국내 에 1과 1속 1종만이 자생 분포한다 (Lee, 1996a,b). 생물기 후적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중심을 나타내며, 난 온대(warm temperate)지역에서 북한계 분포를 갖는다 (Masuyama and Adjie, 2008;Mahesh, 2010;USDA, 2010). 동북아시아에서는 한국 남부지역을 포함해 중국의 광동과 광서, 일본의 혼슈, 큐슈, 시코쿠 등에서 자생 분 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yawaki et al., 1994). 국내 에서의 분포는 순천, 광양, 구례 등 전라남도 일대에서 드 물게 분포가 확인 되었으며 (Lee, 1996b), 섬진강과 영산강 유역권에서만 존재가 확인되었을 뿐 그 이외의 수계에서 는 분포가 알려져 있지 않다 (KBIS, 2013). 물고사리는 동아시아지역뿐만 아니라 아메리카, 아프리 카, 호주 등지에 이르기까지 범지구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종이다. 그러나 고유 서식처의 낮은 빈도와 소실, 개체군 의 감소 등이 예측되어 2011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에서는 레드리스트(Red-list)에 약관심종(least concern) 등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classifying the syntaxa of Ceratopteris thalictroides dominant community on the Nakdong River, and to collect basic data for research of habitat. The communitie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Z.-M. School's method and numerical classification technique. The result of syntaxa was classified three communities such as Persicaria japonicaCeratopteris thalictroides community, Lindernia procumbens-Ceratropteris thalictroides community, and Limnophila indicaCeratopteris thalictroides community. The ordination analysis displayed the vegetation types with respect to complex environmental gradients. After ordination and clustering analysis, the effective humidity, soil stability, trampling effects, anthropogenic effects and flooding frequency were identified as the important factors deciding the vegetation pattern. It was pointed out to establish a long-term ecological site for protecting such vulnerable vegetation against overexploitation and global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