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치법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경제적 이지만 작은 면적의 패치를 실제 체표면적으로 외삽하는 과 정에서 과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고, 실제 작업복과 재 질 차이로 인하여 농약의 흡착 정도가 달라 정확한 노출량 을 측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Franklin et al, 1981;Fenske, 1990;Niven et al, 1993;Tannahill et al, 1996;Cao et al, 2015).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전신복장노출법 (Whole Body Dosimetry; WBD)을 사용하여 피부노출량을 측정하는데, 이 방법은 전신작업복을 입고 작업을 수행한 후, 작업복 전체를 추출, 분석하기 때문에 전신작업복의 사 용, 비교적 장시간의 노출 시료 채취 과정, 분석시 용매의 다량 소비 등 패치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불편하고 비경 제적이지만, 노출량의 외삽 과정 없이 실제 피부노출량을 현실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Chester 1993;Fenske, 1993;OECD, 1997;Castro Cano et al, 2000;Machera et al, 2003;Hughes et al, 2006;Hughes et al, 2008;LesmesFabian et al, 2012;Gao et al, 2013;Grobkopf et al, 2013;An et al, 2014;Abukari, 2015;Cao et al, 2015). 최 근, 국내에서도 전신복장노출법을 이용하여 수박 시설재배 시 농작업자의 피부노출량을 측정한 논문이 보고되었으며 , 전신작업복 속에 내복을 입고 내복의 농 약 오염량까지 측정한 연구도 보고되었다 (Grobkopf et al, 2013;An et al, 2014;Kim et al,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