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DOI: 10.7841/ksbbj.2011.26.5.459
|View full text |Cite
|
Sign up to set email alerts
|

Purification of Peat Moss Extract Using a Supercritical CO<sub> 2</sub> and Verification of Its Biological Activities

Abstract: 1) In this study, the canadian peat moss extract was purified by a supercritical CO2 using three different conditions and assessed its biological activities. Peat moss was extracted by acid-alkaline extraction method (sample 1) and purified by a supercritical CO2 at 40℃ under pressure of 100 bar (sample 2), 120 bar (sample 3) or 150 bar (sample 4).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Fe 2+ / ascorbate (FTC) and 2-thiobarbituric acid … Show more

Help me understand this report

Search citation statements

Order By: Relevance

Paper Sections

Select...
1

Citation Types

0
0
0
3

Year Published

2012
2012
2015
2015

Publication Types

Select...
2

Relationship

1
1

Authors

Journals

citations
Cited by 2 publications
(3 citation statements)
references
References 10 publications
0
0
0
3
Order By: Relevance
“…현재까지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물질에 관한 연구는 주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수준에서 이루어 져 왔으며 저해제로는 hydroquinone, ascorbic acid, 4-hydroxyanisole, kojic acid, azelaic acid, arbutin, corticosteroids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의 문제점으로 사 용이 제한되고 있다 [1,14,22,24,33]. 따라서, 화장품 업계에서는 기존의 미백소재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최근에는 상백피, 짝자래나무, 포도씨 및 피트모스 추출물 등 의 천연물을 활용한 화장품소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에 안전하면서 미백효과가 뛰어난 소재 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7,10,17,29].…”
Section: 서 론unclassified
“…현재까지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물질에 관한 연구는 주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수준에서 이루어 져 왔으며 저해제로는 hydroquinone, ascorbic acid, 4-hydroxyanisole, kojic acid, azelaic acid, arbutin, corticosteroids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의 문제점으로 사 용이 제한되고 있다 [1,14,22,24,33]. 따라서, 화장품 업계에서는 기존의 미백소재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최근에는 상백피, 짝자래나무, 포도씨 및 피트모스 추출물 등 의 천연물을 활용한 화장품소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에 안전하면서 미백효과가 뛰어난 소재 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7,10,17,29].…”
Section: 서 론unclassified
“…피트모스는 보수력 (Hu et al, 2009;MacCarthy, 1976) 및 유기물 함량이 높고, 다양한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식물의 성장촉진제 또는 비료 대체제로서 많이 이용된다 (Hu et al, 2009;MacCarthy, 1976). 그러나 피트모스의 성분은 생산지 (Shotyk et al, 2014), 분해시간 (Shotyk et al, 2014) 및 추출방법 (Ali et al, 2012;Marquez-Reyes et al, 2013;Kim et al, 2011)등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nclassified
“…현재 피트모스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농업과 원예분야에 서 토양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Park et al, 2013;Kim et al, 2011;Na et al, 2013), 국외에서는 축산업에 관련된 연구는 아주 제한적이다 (Dixon and Duncan, 2010;Meng et al, 2015). 최근에는 항염증제로서 피트모스 추출물 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Choi et al, 2014 (Feddes et al, 2002;Ghazi et al, 2014 본 연구에서는 사료첨가제로서 피트모스 추출물이 육계 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unclass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