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거나, 한반도 출토 청 동거울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사를 검토하는 연구 (Nam, 2014)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과학 분야에서 한국 출토 청동거울에 대한 성분 분석과 미세조직에 대한 연구 (Hwang, 2011), 원산지 추정 연구 (Kang et al, 2003;Huh et al, 2007;Yu, 2009;Choi, 2014;Han et al, 2018)가 진행 된 바 있으며, 제작기술과 보존처리에 대한 연구 (Park and Yu, 2009;Yun and Cho, 2012), 매장환경에서 청동거울의 부식 특성을 연구 (Jang, 2020) (Choi, 1976;Bokcheon Museum, 2009) 1). (Park, 2004;Park and Yu, 2009;Choi, 2014;Han et al, 2018;Jang, 2020), 대체로 삼국시대 이후에 제작된 청동거 울들은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한 미세조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