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though thermal effluent from coastal power plants affects marine ecosystem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a coastal area of Korea with thermal discharge.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a macrobenthic community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for a period of 1 year. In total 334 macrobenthic faunal species were collected; the mean density was 3,221 ind/m 2 .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density of macrobenthic fauna increased with distance from the thermal discharge site.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in shallow (< 30 m deep) and group II in the outer areas (> 30 m deep). Group I showed the lowest species density and diversity. Four polychaetes, including Magelona japonica, Spiophanes bombyx, Scolotoma longifolia and Chaetozone setosa, all of which have been dominant species since 1987, exhibited higher mean densities in the area distant from the thermal discharge (the outer and north areas). Conversely, the warm-adapted and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the amphipods Urothoe convexa and Mandibulophoxus mai, the bivalve Felaniella sowerbyi, and the polychaete Rhynchospio sp., were more abundant in the thermal discharge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mal effluent influences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shallow area, while other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depth, sediment grain size, and TOC, are mor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in deeper regions (> 30 m deep).
결과
저서환경조사 정점의 수심은 평균 13.8-60.5 m로 외해로 향하면 서 깊어지는 수심구배를 보였다 (Fig. 2).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정점별로 1.55-6.20 φ 범위로 수 심이 낮은 연안 정점에서는 모래함량이 높은 조립질 퇴적 상을 보였으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펄함량이 우세한 세립 질 퇴적상을 보였다 (Fig. 2). 특히 발전소 배수구 남측 연 안에 위치한 정점 9, 12, 14, 16, 17, 18에서는 평균 1.55-2.36 φ 범위로 다른 정점에 비해 더 조립한 퇴적상을 보였 다. 퇴적물 내 총유기탄소량은 여름철인 8월에 평균 0.94%로 가장 높았으며, 봄철인 5월에 평균 0.65%로 가 장 낮았다 (Fig. 2). 정점별로는 평균 0.13-1.54% 범위로 수심이 얕은 연안 정점에서 낮고 상대적 수심이 깊은 외 해 정점에서 높게 나타났다. (Fig. 3).정점별 출현종수는 전 계절에 걸쳐 수심이 깊은 외해역 에 위치하는 정점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 다 (Fig. 3). 분류군별로 살펴보면, 모든 정점에서 다모류의 출현비율이 높았으며, 연체동물은 외해 정점에서 상대적 으로 많이 출현하였고, 반대로 갑각류는 연안 정점에서 상 대적으로 많은 출현하였다. 특히 갑각류의 출현종수 비중 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연안 정점들에서 갑각류의 상대적 밀도가 높았으며, 겨울철 배수구에 인접한 정점 9에서는 갑각류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Fig. 3).우점종 조사기간 동안의 총 출현한 개체수의 1% 이상을 차지 하는 우점종은 21종이었으며, 이들 종은 총출현개체수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Table 1) (Fig. 4). 두 번째 우점종인 민얼굴갯지렁이(Spiophanes bombyx) 는 평균 515 개체/m 2